밍쯔와 안작고 안귀여운 에러들🖤
[MAC/AWS] EC2 인스턴스 MySQL 구축 및 DB 생성, 권한 설정까지 ! 본문
이번에는 EC2에서 만든 인스턴스에 MySQL을 설치하고,
Database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할 유저 생성과 권한 부여까지 해보겠다 !
이전글
[INFRA/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지난번 프로젝트에서는 프론트/백엔드 개발에 중점을 뒀다면,해커톤을 준비하는 이번에는 aws를 쓰고 서버 올리는 작업에 중점을 두려고 한다! 그래서 ERD 설계 후 개발 준비를 위해 AWS에 EC2 인
mingz.tistory.com
[AWS] 탄력적 IP(EIP) 할당하기
개발을 하다보면 인스턴스를 중단시켰다가 다시 재시동 시키는 일이 생길 수 있다.이때, 갑자기 502 에러가 떠서 서비스가 작동하지 않는 오류를 경험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문제는 바로 AWS의
mingz.tistory.com
순서
1. 터미널로 EC2 접속하기
2. EC2에 MySQL 구축하기
3. 클라우드 DB에 접근할 수 있는 보안 설정
터미널로 EC2 접속하기
1. 연결하기
위에 차례대로 복사해서 터미널에 넣어준다.
성공하면 아래와 같이 바뀐다.
EC2에 MySQL 구축하기
1. 루트로 계정 변경하고 업데이트하기
sudo su
sudo apt update
2. MySQL 설치하기
apt install mysql-server -y
설치 후 버전 확인
mysql --version
잘 뜨면 성공!
3. MySQL 서비스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
systemctl enable mysql
그리고 MySQL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해주자
systemctl status mysql
active로 잘 뜨는걸 확인할 수 있다!
4. DB 생성하기
mysql -u root -p
이후, 비밀번호까지 입력하고 enter!
그러면 sql문을 입력할 수 있는 GUI로 변경된다.
CREATE DATABASE my_database;
show databases;
5. 유저 생성하기
create user '이름'@'%' identified by '비번';
해당 유저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일단 모든 권한을 넘기는 것으로 생성했다.
GRANT ALL PRIVILEGES ON 디비이름.* TO '유저이름'@'%';
그리고 나올땐
exit
mysql -u 유저이름 -p
자신이 설정한 유저이름과 비밀번호로 접근이 잘된다면 끝!
클라우드 DB에 접근할 수 있는 보안 설정
1. bind-address 변경하기
cd /etc/mysql/mysql.conf.d
vim mysqld.cnf
여기서, i 를 눌러서 수정모드로 변경
bind-address = 0.0.0.0 으로 변경
![]() |
![]() |
이후, ESC -> :wq 로 나가기
2. 서버 재시작
systemctl restart mysql
systemctl status mysql
status가 active로 아까처럼 잘 뜨면 끝!!
다음 글
[MAC/AWS] EC2의 DB를 로컬의 MySQL Workbench에 연결하기
이제 로컬에서 DB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최종단계이다.앞서 생성한 EC2와 DB 그리고 계정을 활용해서 로컬에 연결해보자! 이전 글 [INFRA/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지난번 프로젝트에서는 프
mingz.tistory.com
'Develop > AWS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RDS 만들기 (2) | 2024.11.19 |
---|---|
[AWS] RDS - now() 현재시간 수정하기 (0) | 2024.11.19 |
[MAC/AWS] EC2의 DB를 로컬의 MySQL Workbench에 연결하기 (4) | 2024.11.11 |
[AWS] 탄력적 IP(EIP) 할당하기 (0) | 2024.11.07 |
[INFRA/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1) | 2024.09.11 |